• 동두천 29.3℃흐림
  • 강릉 30.6℃흐림
  • 서울 32.3℃흐림
  • 대전 30.7℃구름많음
  • 대구 32.7℃구름조금
  • 울산 30.7℃구름많음
  • 광주 31.8℃구름조금
  • 부산 32.0℃맑음
  • 고창 32.7℃구름조금
  • 제주 31.6℃구름조금
  • 강화 30.0℃흐림
  • 보은 29.2℃흐림
  • 금산 31.4℃구름많음
  • 강진군 31.5℃구름조금
  • 경주시 32.0℃맑음
  • 거제 31.0℃맑음
기상청 제공

2025.08.12 (화)

한국, 디지털 노마드 문화 일본 추월… 원격 근무 열기 가속화!

인식·참여도 높아 빠른 성장, 글로벌 시장 진출이 강점… 협업 시스템 미비는 숙제

 

PDF Guru가 2025년 7월 한국 Tillion Pro, 일본 Freeasy24와 공동으로 양국 직장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한국의 디지털 노마드 문화가 일본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심도, 실제 경험, 기술 적응력에서 뚜렷한 격차를 보였으며, 확산 동력과 장애 요인에서도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한국 응답자의 31.4%가 "디지털 노마드는 혁신적이고 매력적인 라이프스타일"이라 답한 반면, 일본은 7.7%에 그쳤다. 반대로 "무관심" 비율은 한국이 7.5%, 일본이 34.2%로 역전 현상이 두드러졌다. 한국에서 디지털 노마드 또는 프리랜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5.3%로, 일본의 20.1%를 두 배 가까이 앞섰다. 해외에서 원격 근무를 해본 비율도 한국 12.9%, 일본 4.0%로 큰 차이를 보였다.

 

 

확산 동력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한국의 37.8%가 "출퇴근 시간 단축과 사무실 비용 절감이 가장 큰 장점"이라 답해 비용 효율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았고, 글로벌 경력 기회(11.2%)도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다. 일본의 27.8%는 "특별한 이점이 없다"고 답했으며, 일과 생활 균형 향상(25.9%)을 중시하는 삶의 질 중심 접근법이 눈에 띄었다.


원격 근무가 직장 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체감도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은 29%가 유연성과 혁신 향상을, 18.0%는 협업과 규율 약화를 꼽아 긍정과 부정이 동시에 강하게 감지되는 ‘성숙 단계의 딜레마’를 보여줬다. 일본은 긍정 19.4%, 부정 5%로 변화 체감이 낮았고, ‘잘 모르겠다’가 39%로 가장 많아 신중한 태도가 읽혔다.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에서 한국은 ‘지원·협업 구조 부족’(27.6%)을 최우선 과제로 지목했다. 일본은 ‘잘 모르겠다’(27.8%)가 최다였고, 구체적 과제로는 ‘언어·문화 장벽’(26.8%)을 상대적으로 크게 봤다. 도구 적응력에서도 한국의 ‘빠르게 적응’ 비율이 14%로 일본(4%)을 크게 상회했으며, 신기술이 유연성·혁신에 기여한다고 본 응답도 한국 29%, 일본 19.4%로 격차가 유지됐다.
 

PDF Guru는 "한국은 이미 디지털 노마드 문화가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으므로, 기업 차원에서 협업 플랫폼 구축과 성과 관리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변화에 소극적인 문화를 고려해 기초 교육과 단계적 도입 전략이 필수적"이라 조언했다. 또한 AI 기반 문서 협업 도구(예: PDF 변환, OCR 기술)를 활용한 업무 효율화 방안도 제시했다.

 

 

사진 : 디지털 노마드 라이프 스타일(AI 생성 이미지) [PDF Guru]

자료 : 디지털 노마드 인식 비교, 디지털 노마드·프리랜서 경험률 [PDF Gu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