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회 미쟝센단편영화제(MSF)' 사무국이 이번 영화제의 명예 심사위원 명단을 발표하며 화제를 모았다. 이번 명예 심사위원에는 주지훈, 박정민, 전종서, 김태리, 김다미 등 최근 한국 영화계를 이끄는 배우들이 참여해, 영화제의 기대감을 더욱 증대시켰다. '미쟝센단편영화제'는 2001년부터 시작된 장르 단편영화 축제로, 매년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작품들이 선보여왔다. 특히, 신인 감독들과 배우들이 창작의 자유를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해왔다. 올해 21회를 맞은 미쟝센단편영화제는 그동안의 성과를 계승하고, 동시대의 젊은 창작자들과의 역동적인 만남을 기대하며 더욱 주목받고 있다. 영화제는 오는 10월 16일부터 19일까지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진행되고 20일에는 네이버 1784에서 폐막식을 개최되며, 이번에는 특히 집행위원단의 구성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엄태화, 윤가은, 이상근, 이옥섭, 장재현, 조성희, 한준희 감독이 집행위원으로 참여해, 그간 쌓아온 영화적 경험과 철학을 바탕으로 영화제의 방향성을 설정하게 된다. 특히, 이번 영화제의 명예 심사위원으로 선정된 배우들은 각기 다른 장르와 캐릭터에서 활약을 펼친 충무로의 대표적인 배우
대한민국 영화계에 다시 한 번 독특한 물음을 던진 연상호 감독이 신작 <얼굴>로 돌아왔다. 박정민, 권해효, 신현빈 주연의 이 영화는 ‘얼굴’이라는 단어의 물리적 정의와 사회적 편견을 동시에 뒤흔드는 작품이다. 개봉 직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흥행 가능성까지 입증한 <얼굴>은, 관객들에게 추리극 이상의 감각적 체험을 제안한다. 영화는 전각 장인 임영규(권해효)의 다큐멘터리 촬영 장면으로 시작된다. 시각장애를 가진 그는 세계적 예술가로 존경받으며 조용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평온이 깨지는 순간이 찾아온다. 아들 임동환(박정민)에게 40년 전 실종된 어머니 정영희(신현빈)의 백골 사체가 발견되었다는 전화가 걸려온 것이다. 충격적인 소식과 함께 더욱 의문을 남기는 것은, 그녀가 살아생전의 흔적이 사진 한 장조차 없다는 사실이다. 임동환은 어머니의 과거를 추적하며 그녀가 생전에 겪었던 시선과 차별, 그리고 죽음의 단서를 따라간다. 다큐 PD 김수진(한지현)과 함께 진행하는 인터뷰는 점점 더 정영희의 존재를 실감하게 하지만, 그 ‘얼굴’만큼은 끝까지 드러나지 않는다. 영화는 이 부재를 통해 관객의 상상 속에 더 강한 인상을 남긴다.
올가을, 한 여인의 ‘지워진 얼굴’이 극장가를 뒤흔들 준비를 마쳤다. 연상호 감독의 신작 ‘얼굴’이 오는 9월 11일 개봉을 확정 짓고, 14일 메인 포스터와 예고편을 공개하며 본격적인 행보에 돌입했다. 제작비 2억 원의 저예산 독립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제50회 토론토국제영화제 ‘스페셜 프레젠테이션’ 섹션에 공식 초청되며 국내외 영화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영화 ‘얼굴’은 시각장애를 가진 전각 장인 임영규(권해효/젊은시절 임영규역 박정민)와, 그의 아들 임동환(박정민)이 40년 전 실종된 아내이자 어머니 정영희의 백골 시신을 마주하며 벌어지는 미스터리를 담는다. 누구도 본 적 없는 정영희의 ‘얼굴’을 둘러싸고, 과거와 현재, 진실과 거짓이 교차하며 이야기가 전개되며 존재와 기억의 본질을 묻는 철학적 서사를 품었다. 연출을 맡은 연상호 감독은 “가족 안에서 지워진 얼굴, 그리고 진실이 숨겨지는 과정을 그리고 싶었다”며 작품의 방향성을 설명한 바 있다. 이번 작품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박정민의 연기 변신이다. 그는 젊은 시절의 임영규와, 현재의 아들 임동환 역을 동시에 맡아 세대를 가로지르는 1인 2역에 도전한다. 같은 인물이자 부자(父子)의 관계로서